재림신문

본문 바로가기
더보기
뉴스 검색
통합검색

뉴스

“20대, 술 가장 많이 마시고 ‘블랙아웃’ 경험 잦아”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7.11.28 15:15
글씨크기

본문

손애리 교수, 음주자 1000여명 연구 분석결과 발표
손애리 교수는 음주자 1000여명을 연구분석한 결과 “20대가 술을 가장 많이 마시고 ‘블랙아웃’ 경험도 잦다”고 발표했다.
우리나라 20~50대 음주자 중 20대가 술을 가장 많이 마시고, 술에 취해 기억을 잃는 ‘블랙아웃’ 현상도 가장 많이 겪는 것으로 나타났다. 술자리가 3차 이상까지 이어지는 비율도 가장 높았다.

이는 요즘 젊은층의 구직난과 직장 스트레스 등과 무관하지 않다는 분석이 제기됐다.

삼육대 보건관리학과 손애리 교수(알코올과 건강행동학회 회장)는 지난 17일 서울 대치동 스카이뷰 섬유센터에서 열린 음주폐해 예방의 달 연합학술대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손 교수는 리서치 회사에 의뢰해 인구비례층화표본추출 방법과 성별음주율을 고려한 확률표집방법으로 20대부터 50대까지 월간음주자(월 1회 이상 음주자) 1145명(남자 731명, 여자 454명)을 선별해 조사를 실시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20대의 한 달간 평균 음주량이 소주 5.8잔, 맥주 4잔, 소맥 4.2잔, 와인 1.7잔 등 총 15.7잔으로 가장 많았다. 이어 30대는 15.4잔(소주 5.8잔, 맥주 4.1잔, 소맥 3.7잔, 와인 1.8잔), 40대 13.8잔(소주 5.1, 맥주 3.9, 소맥 3.1, 와인 1.7), 50대 13.2잔(맥주 3.4, 소주 5.0, 소맥 3.1, 와인 1.7)으로 나타났다.

또한 음주자의 대부분(85.5%)이 2차 이상의 술자리를 갖는다고 응답한 가운데, 3차까지 술자리를 이어가는 경우도 20대가 다른 연령대에 비해 잦았다. 술자리를 1차에 끝낸다고 응답한 20대는 16.5%에 불과했지만, 3차 이상은 30.4%에 달했다. 반면 50대는 1차에 마치는 비율이 45.1%로 가장 높았고, 3차 이상은 6.0%에 그쳤다.

News_8351_file2_v.png

술을 마신 뒤 기억을 잃는 ‘블랙아웃’도 20대(44.0%)가 가장 많이 경험했다. 30대 33.1%, 40대 29.6%, 50대 33.8%와 비교해 많게는 14.4%포인트까지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술을 마시는 동기도 세대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20대나 30대는 기분이 좋아지거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려는 개인적인 목적의 동기가 강했다. 특히 20대는 스트레스 받을 때 술을 마신다고 응답한 비율이 68.5%로 전 세대 중 가장 높았다.

반면 50대는 사회적 소통의 수단으로써 술을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다. 50대는 불편한 사람과 소통을 하고 싶을 때(41.5%)나 속마음을 터놓고 싶을 때(52.0%) 술을 이용하는 비율이 가장 높았다.

손애리 교수는 “과거 우리나라 국민들은 사회적 소통의 수단으로 술을 마셨지만, 지금 젊은 세대들의 경우 개인적인 이유가 더 추가된 경향이 있다”며 “이는 요즘 젊은이들이 구직의 어려움을 겪거나, 직업이 있다고 해도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는 환경과 무관하지 않은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이어 “음주 문제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되므로 사회가 젊은층의 음주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성이 있다”고 강조했다.
좋아요 0

사이트 정보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운영자: 이상용
  • 운영센터 : 02-3299-5294
  • 재림미디어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54732
  • 등록(발행)일자 : 2023년 3월 8일
  • 발행인 : 엄덕현
  • 편집인 : 이상용
  • 주소 : 서울 동대문구 이문로 1길 11, 시조사 2층
Copyrightⓒ adventist.or.kr All right reserved.
Contact [email protected] for more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