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림신문

본문 바로가기
더보기
뉴스 검색
통합검색

뉴스

매장 → 화장, 장례문화 가파르게 변화 추세

페이지 정보

김범태 기자 [email protected] 입력 2018.06.17 21:50
글씨크기

본문

재림교인은 여전히 매장방식 선호 “의식전환해야”
사회적으로 장례문화가 매장에서 화장으로 빠르게 변하고 있지만, 한국 재림교회는 여전히 매장방식을 선호하고 있다.
얼마 전 국내 한 대그룹 총수가 ‘수목장(樹木葬)’ 형태의 장례를 치르며 자연장(自然葬)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부쩍 높아졌다. 한 상조회사에 따르면 고 구본무 LG 회장의 수목장 이후 자연장 장례문의가 평소보다 두세 배 늘었다고 한다.

국민의 인식도 많이 바뀌고 있다. 통계청이 전국 19세 이상 성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장례방법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최근 들어서는 장례방법을 매장보다 화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1년 17.2%였던 ‘매장’은 지난해 10.9%로 떨어졌다. 납골당으로 대표되는 ‘화장 후 봉안’ 방식은 같은 기간 동안 39.3%에서 44.2%로 부쩍 증가했다. ‘화장 후 자연장’ 역시 41.1%에서 43.6%로 상승했다. 자연장 가운데는 수목장에 대한 선호도가 53.8%로 가장 높았고, 화초장 10.4%, 잔디장 5.4% 순이었다.

매장 장례문화가 급속히 감소하는 현상은 보건복지부 조사에서도 눈에 띄었다. 국내 화장률은 1994년 20.5%에서 2016년 82.7%로 22년 사이 4배 이상 늘었다. 정부도 지난 3월 자연장지를 조성할 수 있는 공공법인의 범위를 확대하고, 국공유지를 임차해 자연장지로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 등 규제를 완화하는 추세여서 자연장은 앞으로도 더욱 확산할 전망이다.

자연장은 매장에 비해 친환경적이라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지면으로부터 30cm 이상의 깊이에 유골의 골분을 묻되, 용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흙과 섞어서 묻어야 한다. 용기에 담아 묻는 경우에도 용기가 생화학적으로 분해 가능한 것이어야 한다.

부지 활용도가 높고, 관리도 편하다. 장묘비용이 저렴해 경제적 부담을 줄일 수 있다. 장지나 납골당 등은 보통 1000만 원 이상 소요되지만, 자연장은 200만원 수준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매장 방식은 평균 1500만 원 이상 소요되는 것으로 집계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사회적 인식변화에도 불구하고, 한국 재림교회는 여전히 매장방식을 선호하는 모습이다. 법인의 한 관계자는 “한국 재림교인은 아직도 매장이 80%, 화장은 20%에 그치고 있다”고 아쉬워하며 “개신교 전체의 통계를 봐도 화장이 80%, 매장은 20%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한국연합회장 황춘광 목사는 “그동안 재림교회의 장묘문화에 변화가 있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꾸준히 들려온 게 사실”이라며 “부활의 소망을 안고 있는 구별된 백성으로서 이에 대한 인식개선이 요구된다. 앞으로 삼육대 신학과 등 전문가 그룹에서 이와 관련한 특별 세미나를 개최해 성도들의 의식전환을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좋아요 0

사이트 정보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운영자: 이상용
  • 운영센터 : 02-3299-5294
  • 재림미디어
  • 인터넷신문등록번호 : 서울, 아54732
  • 등록(발행)일자 : 2023년 3월 8일
  • 발행인 : 엄덕현
  • 편집인 : 이상용
  • 주소 : 서울 동대문구 이문로 1길 11, 시조사 2층
Copyrightⓒ adventist.or.kr All right reserved.
Contact [email protected] for more information.